본문 바로가기
생활

종합소득세 신고 실수? 걱정마세요! 정정·수정신고 A to Z

by team-jastdoit 2025. 4. 14.

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친 후, 이런 생각이 드셨나요?

"어… 경비 내역 하나 빠뜨렸는데?"
"공제를 누락했나?"
"금액이 잘못 입력된 것 같아!"

올해 처음 신고하거나, 모바일 홈택스로 간편신고한 분들은 이런 실수가 잦습니다.
그럴 땐 ‘수정신고’ 또는 ‘경정청구’를 통해 얼마든지 다시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
✅ 용어부터 정리! 수정신고 vs 경정청구 vs 기한 후 신고

용어언제?누가?결과
수정신고 내가 덜 신고한 경우 납세자 더 내야 할 수도 있음
경정청구 내가 더 신고한 경우 납세자 환급 받을 수 있음
기한 후 신고 제때 신고를 못했을 때 납세자 가산세 부과될 수 있음
종합소득세 신고 실수? 걱정마세요! 정정·수정신고 A to Z

🧾 수정신고는 이렇게 합니다

언제?

  • 신고 후 5년 이내 가능
  • 대표적인 사례:
    • 경비 누락
    • 소득 과소신고
    • 공제 항목 빠뜨림

어떻게?

  • 홈택스 → [신고/납부] → [세금신고] → [수정신고]
  • 기존 신고 내용 불러온 후 수정사항만 고치면 됨

유의사항

  • 가산세가 붙을 수 있음 (과소신고가산세, 납부불성실가산세)
  • 하지만 자진신고감면 혜택도 있음

💰 “더 냈다”면? 꼭 알아야 할 ‘경정청구’

언제?

  • 신고 후 5년 이내 가능
  • 대표 사례:
    • 공제를 안 넣었을 때 (예: 보험료, 교육비, 기부금 등)
    • 경비를 적게 신고한 경우
    • 이중 신고된 수입이 있을 때

어떻게?

  • 홈택스 → [신고/납부] → [세금신고] → [경정청구]
  • 증빙자료 반드시 첨부!

결과는?

  • 심사 후 환급금 지급
  • 통상 1~2개월 소요

⏳ 신고기한 놓쳤다면? ‘기한 후 신고’로 커버 가능!

종종 이런 분들도 있어요:

“아차, 5월 말까지 신고 못했네…”

이 경우에도 방법은 있습니다.

기한 후 신고란?

  • 5월 말 신고기한을 넘겼지만, 자진해서 신고하는 것
  • 신고는 가능하지만, 가산세는 피할 수 없습니다
    • 무신고가산세(최대 20%) + 납부불성실가산세(하루 단위)

꿀팁!

  • 자발적 신고 + 성실자료 제출 시 가산세 일부 감면 가능

🧩 실전 예시로 이해하기

사례 1: 블로거 A씨

  • 3.3% 원천징수된 1년 수입 800만 원
  • 신고 후, 홍보비 경비 150만 원 누락 확인 → 수정신고로 경비 추가 → 세금 일부 환급 가능

사례 2: 프리랜서 B씨

  • 교육비 공제를 빼먹고 신고 → 경정청구로 환급 20만 원 수령

 

 


🙋 자주 묻는 질문

Q. 신고한 내용이 잘못됐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
  • 홈택스 > [신고내역 조회] → 상세내역 확인
  • 정산 후 국세청에서 ‘과소신고 통보’가 오기도 함

Q. 수정신고 후 바로 환급 가능한가요?

  • 아니요. 수정신고는 더 내야 할 때
  • 환급은 경정청구로 해야 함

Q. 직접 못 하겠으면?

  • 세무대리인이나 마을세무사 도움 받기 (무료 상담 가능)

✨ 마무리하며

종합소득세는 신고가 끝이 아닙니다.
신고 후에도 정확한 정산, 환급, 정정을 통해 내 돈을 지키는 게 진짜 절세입니다.

혹시라도 실수했거나 누락한 항목이 있다면, 지금이라도 홈택스를 켜고 수정신고나 경정청구를 진행해보세요.
특히 2025년에는 모바일 중심 신고가 늘어나면서 실수도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, 이런 정정 절차를 알고 있는 게 큰 무기가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