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금융

노후 빈곤률 1위 한국 vs 노후 보장 1위 일본무엇이 이런 결과를 만들었을까?

by team-jastdoit 2025. 8. 27.
반응형

1. 한국과 일본, 극명한 노후의 차이

최근 OECD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노후 빈곤률 1위, 일본은 노후 보장 1위라는 상반된 결과가 나왔습니다.
두 나라는 지리적으로 가깝고, 고령화 사회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렇게 큰 차이가 발생한 걸까요?

 


2. 한국이 노후 빈곤률 1위가 된 이유

노후 빈곤률 1위 한국 vs 노후 보장 1위 일본무엇이 이런 결과를 만들었을까?

① 낮은 공적연금 수준

한국의 국민연금은 제도가 늦게 도입(1988년)되었고, 급여 수준도 낮습니다.
현재 평균 수급액은 약 월 62만 원, 최소한의 생활비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.

② 사적 연금·저축 부족

  • 많은 국민이 개인연금에 가입하지 않았거나, 납입금이 적습니다.
  •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로 인해 현금흐름 확보가 어렵다는 점도 문제입니다.

③ 고령층 고용 불안

  • 60세 이상 고용률은 높지만, 대부분이 저임금 비정규직에 종사합니다.
  • ‘일해서 버티는 노후’가 일반적이지만, 근로 환경은 열악합니다.

④ 가족 중심 부양 문화의 약화

과거에는 자녀 부양을 당연하게 여겼지만, 1인 가구·핵가족 증가로 인해 기대하기 어려워졌습니다.


3. 일본이 노후 보장 1위를 기록한 이유

① 두터운 공적 연금

  • 일본의 국민연금은 오래전부터 시행되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.
  • 기초연금 + 후생연금 2층 구조로, 평균 지급액이 한국보다 훨씬 높습니다.

② 기업 중심 퇴직연금 제도

  • 일본 기업들은 퇴직연금과 확정기여형 연금(DC)을 적극적으로 도입.
  • 은퇴 후에도 기업이 제공하는 연금과 보너스성 퇴직금으로 생활 기반이 안정됩니다.

③ 장기 저축 문화

  • 일본인은 전통적으로 저축률이 높아 노후 자산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‘엔저’ 시대에도 꾸준히 저축과 투자 습관을 유지했습니다.

④ 사회 안전망의 다양성

  • 지자체별 복지 프로그램, 의료 지원, 장수보험 등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.
  • 한국보다 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제도가 폭넓게 시행됩니다.

4. 두 나라의 차이를 만든 핵심 요인

  1. 제도의 출발 시점: 한국은 늦게 시작한 연금제도로 인해 현재 수급 세대가 충분히 혜택을 못 봄.
  2. 복지 철학의 차이: 일본은 국가와 기업이 책임지는 구조, 한국은 개인과 가족에 의존하는 구조.
  3. 저축 문화와 투자 습관: 일본은 장기 저축, 한국은 부동산 몰빵 경향.

5. 한국이 배워야 할 점과 개인이 준비할 방향

  • 공적연금 강화: 국민연금 개혁을 통한 안정적 지급.
  • 퇴직연금 활성화: 기업 차원의 노후 지원 제도 확대.
  • 개인적 준비 필수:
    • 개인연금(연금저축, IRP) 가입
    • 장기 투자(ETF, 채권 등)
    • 의료·간병 보험 준비

결론

한국의 노후 빈곤은 구조적 문제이자 개인적 준비 부족에서 비롯되었습니다. 반면 일본은 국가·기업·개인이 함께 준비해 온 결과,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받고 있습니다.
앞으로 한국도 연금 제도 개혁과 더불어, 개인이 스스로 적극적으로 노후 자산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입니다.

 

반응형